이번 포스팅은 엔지니어링 노임단가, 건축사 대가기준 현황입니다.
제가 관심이 있어서 찾아봤다가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 봅니다.
엔지니어링 노임단가는 매해 조사를 통해 다음 해 반영하는 금액을 연말에 발표를 하더라구요.
2025년 적용할 2024년 임금실태조사 결과와 조사 방법 등을 한번 적어보겠습니다.
포스팅 하단에 파일도 업로드 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1_2024년 엔지니어링 업체 임금실태조사 결과 공표
2025년 엔지니어링 노임단가는 2024년에 조사한 임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공표를 합니다. 엔지니어링 기술부문별 기술자 평균임금이 표에 나와있네요. 건축설계나 엔지니어링 금액 산정할 때 기초 자료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☆ 2025년 적용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표
2024년도 연말에 발표한 엔지니어링 임금실태조사 결과 공표 자료 입니다. 이 공표 자료로 1일 기준 금액을 산정하면 되겠더라구요. 기술사 부터 초급숙련기술자까지 기계설비, 전기, 정보통신, 건설 등 평균임금이 적혀있습니다.
월 평균 근무일수는 20.5일로 보면 되고 적용은 2025년 1월 1일부터네요. 매년 조금씩 임금이 높아지고 있는데 작년(2023년)하고 전체 공종과 기술등급을 평균적으로 7천원 정도에서 만원 정도 증가가 있었습니다.
2_임금실태조사 보고서 내용 간단히 보기
엔지니어링 협회 사이트에서 가져온 임금실태조사 보고서 내용입니다. 표지부터 가져와봤어요. ㅎㅎ
이 자료는 엔지니어링협회 엔지니어링종합정보시스템 사이트 https://www.etis.or.kr/bbsView.do 에서 가져왔습니다.
목차를 넘기고 나면 유의사항과 일러두기가 나옵니다. 엔지니어링 활동이란 과학기술의 지식을 응용하여 수행하는 사업이나 시설물에 관한 연구, 기획, 타당성 조사, 설계, 분석 활동 등등, 이 활동 들에 대한 사업관리, 그에 준하는 것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이라고 적혀있습니다.
오른쪽 엔지니어링 기술부문을 보면 세부적으로 전문분야가 많이 있네요.
기타사항에 여러 조건들이 적혀있었어요. 근무시간 주 40시간 이외 근무 수당은 제외 되어 있고 추정인원은 소수점 반올림 하였다고 하네요. 1개월 인건비는 임금 x 월 평균 근무일수를 통해서 계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 조사 관련 사항으로 7월 만근한 기술자의 실 지급 임금을 조사하였고 기간은 10월~11월 이었네요.
3_연도별 엔지니어링 노임단가
보고서를 보다보니 전체 임금현황과 연도별 증감 그래프가 있어서 가져와봤습니다. 1인 1일 기준으로 공종과 기술등급별로 차이가 있으나 2023년 대비 1.9%에서 크게는 5.7%까지 증가가 있었네요. 2024년 12월을 봤을 때 전년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이 1.9%정도인데 물가상승률 보다는 높은걸로 봐도 될 지 모르겠습니다.
아래는 2002년 부터 2024년까지 평균 임금추이 입니다. 전체적으로 우상향인데 2010년, 2012년만 살짝 줄었었네요. 그리고 2021년, 22년 사이가 아주 큰 폭으로 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아마도 2022년 2월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진게 큰 이유일까 싶습니다.
이 당시 지인들하고 통화하다보면 건설관련 자재비도 오르고 임금도 올랐다고 다들 어우성이었거든요. 코로나 시절보다 더 확 올라간 느낌입니다.
☆ 링크_ETIS 엔지니어링 협회 엔지니어링종합정보시스템_2024년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결과공표
4_2025년 건축사[보] 분류 및 노임단가 살펴보기
건축사협회에서 건축사 노임단가도 찾아와봤습니다. 요건 쫌 홈페이지 여기저기 뒤져봤어요. 법령 및 기준 페이지에 있었습니다. 이 대가 기준은 엔지니어링 공표 노임단가에 준해서 작성이 되었다고 하네요. 같은 걸로 보면 되겠네요. ㅎㅎ 근무일수도 20.5일로 동일합니다. 엔지니어링협회 발표 내용 중 건설 분야와 금액이 같습니다.
아래는 작년 자료인데 엔지니어링 노임 단가와 마찬가지로 소폭 올랐습니다.
아래 링크 건축사협회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☆ 링크_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[보] 분류 및 노임단가 (2025년) 페이지
5_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첫 포스팅 후기
그동안 계속 포스팅 해보고 싶었던 엔지니어링 업무 노임단가와 건축사 대가에 대한 글을 처음으로 써봤습니다. 다년간의 통계 자료도 보고 그래프로 추이도 볼 수 있어서 재미있었어요. 매년 이렇게 자료를 보면서 정리를 해봐야겠습니다. 그래도 꾸준히 오르는 모습이긴한데 더 많이 오르면 좋겠네요.
앞으로도 종종 이런 유익한, 도움되는 자료 찾아서 올려보겠습니다.
지금까지 엔지니어링 노임단가, 건축사 대가기준 관련 포스팅이었습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^^
☆ 파일 업로드_1_2024년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결과공표문
☆ 파일 업로드_2_엔지니어링 노임단가(연도별)
☆ 파일 업로드_3_2024년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보고서 (PDF로 변환)
☆ 파일 업로드_4_건축사(보) 분류 및 노임단가(2025년)
☆ 이전 글 링크_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 FMS 계획 입력 기간
시설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 FMS 안전관리계획 입력기간 (~2/15 까지 등록)
시설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 FMS 안전관리계획 입력기간 (~2/15 까지 등록)이번 포스팅은 시설물안전법 대상 건축물의 안전관리계획 업로드에 대한 포스팅입니다.시설물안전법 대상 건축물의 경
promenade7.tistory.com
☆ 이전 글 링크_건축사자격시험 준비물 체크
건축사 자격시험 준비물 체크!
드디어 이번 주말 9월 16일 토요일! 2023년 제2회 건축사시험이 있습니다. 이제 정말 내일 모레네요. 그동안 준비하신 모든 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. 조금만 더 힘내시면 됩니다. 저는 앞의 포스팅
promenade7.tistory.com
'건축 관련 자료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녹색건축물 조성 지원사업 모집 공고 공유(성남시) (1) | 2025.02.18 |
---|---|
다양한 볼거리가 기대되는 건물유지관리산업전(2/19~22, 사전등록중) (3) | 2025.02.17 |
시설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 FMS 안전관리계획 입력기간 (~2/15 까지 등록) (1) | 2025.01.28 |
2025년 제1회 건축사자격시험 일정 공고 (36) | 2024.12.22 |
2024년 제2회 건축사자격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(2) | 2024.11.02 |
댓글